반응형
1. 증자란?
- 기업 자본금의 변동은 주주와의 거래로부터 발생
- 자본금이 증가하면 증자
- 자본금이 감소하면 감자
- 자본금 = 액면가액 X 주식수
자본잉여금 = 주주로부터 받은 금액 - 자본금
Ex) 액면가액 5000원, 주식발행금액 1만원인 경우 자본잉여금은 5000원이 된다.
2. 유상증자
- 유상증자는 일반적으로 악재로 판단
: 유상증자를 하게되면 기업은 유상증자한 주식에 대해 현재 주가 보다 낮게 발행하여야 함.
즉, 낮은 주가의 주식수량이 증가하면 자본금 감소로 이어진다.
3. 무상증자
- 무상증자는 일반적으로 호재로 판단
: 무상증자를 하게되면 기업의 주식수량은 늘어나지만 본질적인 주가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.
이러한 이유는 주식수가 늘어난 만큼 주가가 줄어들기 때문이다. - 무상증자는 주식수를 늘려 거래량을 증가시킴
- 주가가 증자한 수량만큼 하락하였으므로 가격이 싼 것 같은 착각을 준다.
정리
: 유상증자 또는 무상증자 일정은 미리 해당 기업의 공시에 등록되어진다. 위에서 보이는 아이진과 예스24의 공시를 보면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공시에 약간 차이가 있는것을 알 수 있다.
유상증자 및 무상증자를 참여할 주주분들은 일정을 미리 파악하여 해당 기준일에 맞추어 매매를 진행하여야 한다. 기업에 대한 분석 이후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를 적절하게 이용한다면 매매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.
[3분 주식 용어] PER과 PBR의 특징 및 차이점
1. PER 영문명 : Price Earning Ratio Price(가격) / Earning(수입 or 소득) / Ratio(비율) PER = Price ÷ EPS EPS(주당순수익) 해당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수익(EPS)으로 나눈 값이다. 즉, 해당 기업의 이익 대..
ggu-tech.tistory.com
[3분 주식 용어] EPS와 BPS의 특징 및 차이점
1. EPS 영문명 : Earning Per Share Earning(수입 or 소득) / Per(대비) / Share(몫 or 지분 = 주식 수량) EPS = Earning ÷ Share 해당 기업의 소득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. 즉, 해당 기업이 한 주당..
ggu-tech.tistory.com
반응형
'주식 > 3분 주식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분 주식 용어] 공매도와 숏커버링의 의미와 특징 (47) | 2021.08.18 |
---|---|
[3분 주식 용어] EBIT과 EBITDA의 특징 및 차이점 (18) | 2021.08.11 |
[3분 주식 용어] 코스닥과 코스피의 특징 및 차이점 (10) | 2021.08.03 |
[3분 주식 용어] EPS와 BPS의 특징 및 차이점 (2) | 2021.05.06 |
[3분 주식 용어] PER과 PBR의 특징 및 차이점 (2) | 2021.05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