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EPS
- 영문명 : Earning Per Share
- Earning(수입 or 소득) / Per(대비) / Share(몫 or 지분 = 주식 수량)
- EPS = Earning ÷ Share
해당 기업의 소득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.
즉, 해당 기업이 한 주당 얼마 정도를 벌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이다.
2. BPS
- 영문명 : Bookvalue Per Share
- Bookvalue(순자산 or 장부가치) / Per(대비) / Share(몫 or 지분 = 주식 수량)
- BPS = Bookvalue ÷ Share
해당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.
즉, 해당 기업의 주식 한 주 대비 얼마의 자산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.
정리
: EPS와 BPS 또한 PER, PBR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포털사이트 내 주식 종목 검색 시 쉽게 알 수 있다. 위에서 보이는 것처럼 현대자동차의 EPS와 BPS를 확인할 수 있다.
기업의 EPS과 BPS 산출 후 비교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존재한다. 소득, 수입과 관련된 EPS의 경우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어느정도 되는지 참고자료를 확인하고, 순자산과 관련된 BPS는 그 의미가 순자산이므로 자산에서 부채비를 제외하여야 한다.
[3분 주식 용어] PER과 PBR의 특징 및 차이점
1. PER 영문명 : Price Earning Ratio Price(가격) / Earning(수입 or 소득) / Ratio(비율) PER = Price ÷ EPS EPS(주당순수익) 해당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수익(EPS)으로 나눈 값이다. 즉, 해당 기업의 이익 대..
ggu-tech.tistory.com
반응형
'주식 > 3분 주식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분 주식 용어] 공매도와 숏커버링의 의미와 특징 (47) | 2021.08.18 |
---|---|
[3분 주식 용어] EBIT과 EBITDA의 특징 및 차이점 (18) | 2021.08.11 |
[3분 주식 용어] 코스닥과 코스피의 특징 및 차이점 (10) | 2021.08.03 |
[3분 주식 용어]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특징 및 차이점 (8) | 2021.05.29 |
[3분 주식 용어] PER과 PBR의 특징 및 차이점 (2) | 2021.05.05 |
댓글